이 글은 아래의 책을 읽고 공부 목적으로 작성됨.몬나파 K A, 「악성코드 분석 시작하기」정적분석 도구와 기법 파일 유형 파악의심스러운 바이너리의 파일 유형 구분. -> 운영 시스템과 아키텍처(32비트 또는 64비트 플랫폼) 식별에 도움. 윈도우 기반 악성코드 확장자 : 대부분 .exe / .dll / .sys 등으로 끝남.그러나 공격자가 파일 확장자를 수정할 수 있음. -> 파일 시그니처를 통해 파일 유형 구분 가능. 파일 시그니처(file signature) : 파일 헤더에 작성되는 바이트의 독특한 배열 순서.*윈도우 실행 파일 또는 PE 파일 : 파일의 첫 바이트에 MZ 또는 헥사 문자 4D 5A라는 파일 시그니처를 가짐.수작업 : 헥사 편집기(hex editor)로 파일을 열어 파일 시그니처를 찾..